안녕하세요, 스토리 텔러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각 게임 진행 단계별 목표 무기를 정리하겠습니다. 테라리아에 정말 다양한 무기가 있지만, 이 공략에서는 목표로 삼을 무기와 차선책 정도만 알아보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드랍률이 너무 낮거나 만들기 번거로운 무기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하지만 그런 무기도 게임을 진행하시다가 자연스럽게 구하신다면 여기에 있는 아이템과 성능을 비교해보시고 사용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테라리아 통합 공략이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테라리아(Terraria) 통합 공략
안녕하세요, 스토리 텔러입니다. 테라리아 관련 정보 및 공략을 모두 모았습니다. 앞으로 진행될 공략과 정보도 지속적으로 이 포스트에 업데이트할 계획입니다. 잘못된 링크가 있으면 제보 부
storyaboutgame.tistory.com
무기 사진 아래 표기된 수치는 공격력/사용 시간/넉백 순입니다.
1. 극초반 (게임 시작 단계)
오염지대 / 진홍지대 근처에 가서 나무 한두 그루만 캐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여유가 된다면 나무를 많이 캐서 좋은 수식어가 나올 때까지 만들면 꽤 쓸만한 성능의 활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칠흑나무 활 Ebonwood Bow |
그늘나무 활 Shadewood Bow |
![]() |
![]() |
8 / 28(보통) / 0(없음) | 칠흑나무 활과 동일 |
칠흑나무 (10) @ 작업대 | 그늘나무 (10) @ 작업대 |
활류 무기 중 일반 광물로 만들 수 있는 최상위 단계입니다. 칠흑나무 / 그늘나무 활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그 전 단계의 광물 활은 만드실 필요 없습니다.
금활 Gold Bow |
백금활 Platinum Bow |
![]() |
![]() |
11 / 26(보통) / 0(없음) | 13 / 25(빠름) / 0(없음) |
금 주괴 (7) @ 모루 | 백금 주괴 (7) @ 모루 |
2. 지옥 이전
악마의 활 Demon Bow |
힘줄의 활 Tendon Bow |
![]() |
![]() |
14 / 25(빠름) / 1(극도로 약함) | 19 / 30(보통) / 1(극도로 약함) |
데모나이트 주괴 (8) @ 모루 | 크림테인 주괴 (8) @ 모루 |
머스킷 Musket |
장의사 The Undertaker |
붐스틱 |
![]() |
![]() |
![]() |
31 / 32(느림) / 5.25(보통) | 19 / 20(매우 빠름) / 2(매우 약함) | 14 / 40(매우 느림) / 5.75(보통) |
오염지대의 그림자 구체 (20%) [오염된 크레이트 / 더럽혀진 크레이트] (20%) |
진홍지대의 진홍색 심장 (20%) [진홍색 크레이트 / 핏빛 크레이트] (20%) |
정글 지하의 넝쿨 상자 (21.72%) [정글 크레이트 / 가시덤불 크레이트] (19%) |
Unreal, Godly 같이 좋은 수식어가 붙게 되면 월 오브 플레시 이전까지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는 성능. 폭탄을 쓴다면 오염지대의 그림자 구체로부터 빠르게 얻을 수도 있습니다. |
머스킷의 대체 아이템. 머스킷과 비슷한 위력. |
낮은 공격력으로 인해 사용하기 위해서는 치명타 세팅 강요됩니다. 플레이 스타일과 맞지 않는다면 추천하지 않습니다. |
쿼드 배럴 샷건 Quad-Barrel Shotgun |
미니샤크 Minishark |
![]() |
![]() |
14 / 55(극도로 느림) / 6.5(강함) | 6 / 8(미친 듯이 빠름) / 0(없음) |
총포상에게 구입(35 금, 묘지에서) | 총포상에게 구입(35 금) |
붐스틱 상위 호환. 탄퍼짐 너무 심해서 초근거리용. |
하드모드 이전 원거리 무기 중 가장 빠른 공속. 33% 확률로 탄약 미소모. 유성 대포, 메가샤크의 재료가 되기 때문에 구입해서 쓰다가 재료로 사용하는 걸 추천. |
3. 하드모드 이전
근접무기와 마찬가지로 이 단계에서 딱히 엄청난 성능 향상을 얻기는 힘듭니다. 그래도 근접 무기는 상위 아이템의 재료로 쓰이기 때문에 제작하시는 걸 권했지만, 이 단계는 생략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좋은 수식어가 붙은 머스킷을 구하지 못 하셨거나 플레이스타일 상 조금이라도 나은 원거리 무기를 원하실 경우에 만드는 걸 고려해볼만 합니다. (하드모드 진입 시 쉽게 만들 수 있는 광물 리피터에도 성능이 밀려서 오래 쓸 무기는 아닙니다.)
몰튼 퓨리 (Molten Fury) |
피닉스 블래스터 Phoenix Blaster |
![]() |
![]() |
31 / 22(빠름) / 2(매우 약함) | 30 / 14(매우 빠름) / 2(매우 약함) |
지옥석 주괴 (15) @ 모루 | 지옥석 주괴 (10) + 권총 @ 모루 |
4. 하드모드 이후
하드모드 광물을 이용한 리피터를 베이스로 하여 비교해서 더 좋은 무기를 맞춰가면 됩니다.
코발트 리피터 Cobalt Repeater |
팔라듐 리피터 Palladium Repeater |
![]() |
![]() |
35 / 23(빠름) / 1.5(극도로 약함) | 37 / 22(빠름) / 1.75(매우 약함) |
코발트 주괴 (10) @ 모루 | 팔라듐 주괴 (12) @ 모루 |
미스릴 리피터 Mythril Repeater |
오리칼쿰 리피터 Orichalcum Repeater |
![]() |
![]() |
39 / 20(매우 빠름) / 2(매우 약함) | 40 / 19(매우 빠름) / 2(매우 약함) |
미스릴 주괴 (10) @ 하드모드 모루 | 오리칼쿰 주괴 (12) @ 하드모드 모루 |
아다만타이트 리피터 Adamantite Repeater |
티타늄 리피터 (Titanium Repeater) |
![]() |
![]() |
42 / 18(매우 빠름) / 2.5(매우 약함) | 43 / 17(매우 빠름) / 2.5(매우 약함) |
아다만타이트 주괴 (12) @ 하드모드 모루 | 티타늄 주괴 (13) @ 하드모드 모루 |
플랜테라 이전 | |
녹조류 샷보우 Chlorophyte Shotbow |
메가샤크 |
![]() |
![]() |
34 / 19(매우 빠름) / 2.75 (매우 약함) | 25 / 7(미친 듯이 빠름) / 1(극도로 약함) |
녹조류 주괴 (12) @ 하드모드 모루 | 미니샤크 + 불법 총기 부품 + 상어 지느러미 (5) + 힘의 영혼 (20) @ 하드모드 모루 |
미스릴 리피터급. 미스릴 리피터에 비해 좋은 저지력, 화살 하나 당 2~4발 발사. (2.33발) |
50% 확률로 탄약 미소모. 플랜테라 전에서 쓰기에는 버거울 수 있습니다. |
플랜테라 이후 | |
쓰나미 Tsunami |
판타즘 Phantasm |
![]() |
![]() |
53 / 24(빠름) / 2(매우 약함) | 50 / 12(매우 빠름) / 2(매우 약함) |
드랍: 피시론 공작 (20%) | 소용돌이의 파편 (18) @ 고대의 머니퓰레이터 |
1발의 화살로 5발의 투사체. 산탄총과 마찬가지로 관통형 화살이나 지옥불 화살은 1개 분의 데미지만 적용되니 주의. (해당 내용은 테라리아(Terraria) 공략 - [5] 전투 데미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66% 확률로 화살 미소모. 녹조류 샷보우와 비슷한 공격 방식입니다. 연사 시, 점점 공격속도 증가. 쉬루마이트, 소용돌이의 갑옷으로 은신하고 신성한 화살이나 맹독 화살을 쏘면 초당 DPS가 최종 보스의 무기와 비등할 정도로 강력합니다. 수식어 효과가 성능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게임 공략 > 테라리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라리아(Terraria) 공략 - [6-2] 맵 리더, 지도 보는 법 (0) | 2023.08.29 |
---|---|
테라리아(Terraria) 공략 - [5] 전투 데미지 (0) | 2023.08.25 |
테라리아(Terraria) 공략 - [4-3] 도구 공략 (2) | 2023.08.21 |
테라리아(Terraria) 공략 - [4-2] 가구 공략 (0) | 2023.08.18 |
테라리아(Terraria) 통합 공략 (0) | 2023.07.31 |